협업툴,가상환경 정리/Git관련8 Git bundle 개념 및 사용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나 배포버전으로 push나 pull을 못해야 하는 .git 이여야 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간이 저장소 == git bundle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결정적으로 "$ git remote -v" 라고 확인해보면, 보통 깃이라면 $ git remote -v origin https://source.회사명.co.kr:8000/aa_dir/Project_1.git (fetch) origin https://source.회사명.co.kr:8000/aa_dir/Project_1.git (push) 추가 번들에서 코드 수정 후, commit 도 하고 여러 작업을 하고 나면 2가지 선택지가 있음. 1. 번들로 만들어서 계속 현행화를 할지. 2. 깃 url 레포지토리로 업데이트(push)를 할지 1번.. 2023. 7. 11. CLRF 에러, “/bin/sh^M: bad interpreter” "bash: $'\r': command not found" “/bin/sh^M: bad interpreter” 오류 vi -b 파일명.sh 하면 ^M 이 즐비해 있다 하단의 내용으로 현재파일에 있는 모든 sh 파일의 ^M 을 없애 버림 sed -i 's/\r$//' $(find . -name '*.sh') sed -i 's/\r$//' [파일명] 하면 해당 파일만 ^M 없앰 2023. 2. 9. git branch structure 깃 브랜치 구조 참고 : https://nvie.com/posts/a-successful-git-branching-model/ A successful Git branching model In this post I present a Git branching strategy for developing and releasing software as I’ve used it in many of my projects, and which has turned out to be very successful. nvie.com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11/types-of-git-branch.html [GitHub] Git 브랜치의 종류 및 사용법 (5가지) - Heee's Development B.. 2022. 10. 23. 깃랩 자주 쓰는 명령어 모음 fatal: unable to access 'https://xxxxxxxxx.git/': Could not resolve host: source.xxxxxx.co.kr 에러시 : git config --global --unset http.proxy git config --global --unset https.proxy 이거로 안되면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 email" 해도 안되면 ---------------------------------------------- ping github.com 핑테스트 해보고 안되면 /etc/resolv.conf master 브랜치로 머지 git checko.. 2022. 8. 4. gitlab 시 fatal: unable to access 에러 해결법 https://apeltop.blogspot.com/2019/01/git-git-clone-fatal-unable-to-access.html [GIT] git clone fatal unable to access could not resolve host 해결 방법 데이터 관리 책을 보며 따라 하던 와중 git 코드를 쳤는데 안되었습니다. $ git clone https://www.github.com/efkbook/blog-sample fatal: unable to access 'https://www.github.com/efkbook/blog-sample/': Could not resolve host: www.github apeltop.blogspot.com 2022. 6. 2. GitLab 사용법 개념 출처 : https://wonhyeok1994.tistory.com/33?category=1057887 @@@는 알맞게 넣어줘야함 git cmd 창에서 활용함. push든 pull 이든 어쨋든 첨에 git clone 으로 사용할 로컬저장소(git)와 클라우드저장소(github)를 연동해줘야함 한번만 clone 해주면 그담부턴 clone 안해줘도 된다. push 하는법 1 git clone http://source.@본인주소@:9000/@본인닉네임@/@github프로젝트명@.git 2 (git CMD창에서)그다음 cd @github프로젝트명@ 쳐서 프로젝트 들어간 후, 3 코드수정~~~~ 후 4 git status 로 수정된 부분 확인 후 5 git add test/git_test.py 로 로컬저장소.. 2022. 5.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