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정리/용어,개념 정리

공유기, DHCP, 라우터/스위치/허브, AP, 브릿지/NAT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5. 31.

 

https://namu.wiki/w/%EC%9D%B8%ED%84%B0%EB%84%B7%20%EA%B3%B5%EC%9C%A0%EA%B8%B0

 

인터넷 공유기 - 나무위키

초기에 나온 공유기는 유선만 지원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유선만 지원해도 컴퓨터가 두 대 이상 있는 가정도 드물었고 보통 1가정 1라인에 불과한 인터넷 접속을 4대 정도로 늘려주는것은 획기

namu.wiki

 

공유기:

== 소용량 라우터 == 홈 라우터

Wi-Fi 칩셋과 안테나를 더해 AP 기능까지 하기도 한다.

공유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ISP(인터넷 회사)에서 할당해 주는 하나의 IP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한편,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ISP에서 공인 IP 주소를 여러 개 할당받는 게 원칙이다. 그런데 ISP에서는 추가 IP마다 돈을 내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IP를 하나만 사용해서 여러 대 컴퓨터가 인터넷을 할 수 없을까'라는 고민 끝에, 라우터의 NAT 기능 게이트웨이, 허브네트워크 관리 도구를 통합하여 나온 물건이 인터넷 공유기이다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라우터에서 DHCP를 setup해준다.

유무선 IP 환경에서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 IP 주소, DNS 서버 IP 주소, 임대기간(Lease Time)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DHCP 서버가 PC와 같은 이용자(client) 단말에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 

 

DHCP 구성

DHCP 구성시 순서도

 

라우터에서 DHCP를 setup해준다.

 

 


https://blog.naver.com/lsh10432/220737222636

 

[Network 기본] OSI 7계층의 구조 및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 /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

앞서, 네트워크의 개요와 더불어 LAN과 WAN을 아주 대략적으로 이해 해보았습니다. LAN이던 WA...

blog.naver.com

 

라우터/스위치/허브

 

1. 허브 (HUB)

 

 

단순히 허브에 물려 있는 PC 여러대에서 누군가 데이터를 많이 발생시키면 네트워크 전체가 엄청 느려지거나 통신이 먹통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요즘엔 싼맛에 간간히 쓰긴 합니다만..

보안성이 떨어지는 이유도 있고, 아래 설명할 스위치가 역할을 대신하기에 거의 쓸 일이 없습니다. 

 

덤으로 말씀드리자면, 허브나 리피터는 OSI 7계층에서 1계층에 해당하는 장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 스위치 (Switch)

스위치는 위의 3가지 기법과 더불어 아래 5가지 원리로 동작합니다.

 

 

1) Learning (학습) : 스위치가 프레임을 수신하면 MAC Address 를 확인하여 스위치 자신의 MAC Address Table 이라는 장소에 MAC Address 를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MAC Address Table 은 스위치 장비의 메모리 크기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Flooding (흘려보내기) : 스위치에 들어온 프레임을 확인하여 목적지 주소가 MAC Address Table 에 등록되지 않은 MAC Address 인 경우 최종 목적지를 찾기 위해 출발지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프레임을 흘려보내는 과정입니다. '니가 그놈이 맞느냐?' 라고 확인하는 작업이지요.

 

 

 

3) Forwarding (포워딩, 전달) : 스위치에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가 MAC Address Table 에 등록되어 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한다면 해당 목적지로 프레임을 보내는 과정입니다. '니가 거기에 있구나~' 라고 확인하고 해당 프레임을 보내는거죠.

 

4) Filtering (필터링) : Flooding 이나 Forwarding 을 할 필요가 없는 같은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경우라면 불필요하게 프레임을 전송할 필요가 없겠죠? 필터링하여 불필요한 프레임 송신을 방지하는 과정입니다.

 

5) Aging (에이징) : 장비에 기본적으로 300초 내에 프레임이 송수신되지 않을 경우 스위치는 MAC Address Table 에서 해당 MAC Address 를 삭제하는 과정을 가집니다. 300초 내에 프레임이 송수신 될 경우 타이머가 리셋되는데 이를 Refresh 라고도 합니다.

 

통상적인 스위치는 OSI 7계층 중 2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구요.

 

 

3. 라우터 (Router)

서브넷(Subnet) 이라는 하나의 네트워크 영역과 다른 서브넷 영역이 통신하려면 필요한 장비입니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이라고도 표현합니다

위의 그림에선 LAN 으로 표현된 각각의 둥그런 공간이 각각 하나의 서브넷 영역이 되겠습니다. ^^

 

라우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기는 어려운 장비이며

스위치 마지막 부분에도 언급했듯 요즘엔 이 녀석의 기능을 스위치가 담당하기도 합니다.

(라우팅 이라는 방법을 통해 통신하게 되는데 나중에 설명할 날이 올 겁니다.)

 

스위치에서는 MAC Address 를 통해 통신했었다면

라우터에서는 IP Address 를 통해 통신하게 되구요.

 

2계층에서 3계층으로 통신할 때, 혹은 반대로 3계층에서 2계층으로 통신할 때

ARP 와 RARP 라는 프로토콜을 가지고 MAC Address 와 IP Address 간 변환이 이루어지기도 한답니다. ^^

 

라우터는 OSI 7계층 중 3계층의 영역을 담당합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twers&logNo=50118628879 

 

AP (Access Point)

AP (Access Point) 란, AP 는 무선랜을 구성하는 장치중 하나로, 유선랜과 무선랜을 연결시켜주는 장...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ae1zzang&logNo=220184725819 

 

무선 네트워크 이해

무선 네트워크 이해 n무선 랜 §기본적으로 Ethernet Like 개념으로서, 보통 내부 네트워크의 확장으로서 ...

blog.naver.com

 

AP :

 AP 는 무선랜을 구성하는 장치중 하나로, 유선랜과 무선랜을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다.

 AP 는 대체로 독립형 장치로, 이더넷 허브(Ehternet Hub)나 서버(Server)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https://inpa.tistory.com/entry/VM-%F0%9F%92%BF-NAT-Bridge-Adapter-%EA%B0%9C%EB%85%90-%EB%B0%8F-%EC%84%A4%EC%A0%95

 

[Virtual Box] 💿 NAT / Bridge Adapter 개념 및 설정

NAT은 버추얼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호스트 PC가 공유기 역할을 하여 가상머신에 IP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이라면, Bridged Adapter는 실제 공유기로부터 가상머신에 IP 주소를 할당받기 때문에 호스트 PC

inpa.tistory.com

 

NAT :

네트워크 설정이 NAT로 되어있는 가상머신은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

NAT는 가상머신 내에서 할당해주는 자유로운 IP이다.

10.0.0 번대로 시작한다
  > 클라이언트 기능은 해주지만 서버로서 X

NAT를 쓰는 이유는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회선을 하나 개통하고 인터넷 공유기를 달아서 여러 PC 를 연결하여 사용 하는데, 이 것이 가능한 이유가 인터넷 공유기에 NAT 기능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브릿지 :

어댑터에 브리지는 호스트와 IP대역대가 같은 고정적인 IP이다.

hostOS 와 같은 대역대 .. 192.~.~.
  > 클라이언트와 서버 기능

 

 

가상머신을 사용할때 주로 그 가상머신이 서버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https://developerin.tistory.com/18

 

Host-only, NAT, Bridged 차이점

가상 네트워크 구성 - VirtualBox, VMware 같은 가상머신 프로그램을 사용해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호스트는 실제로 사용되어지는 PC를 의미합니다. - 가상머신은 호스트PC 내에 구축

developerin.tistory.com

 

Host-only

NAT

Bridged              아키텍처 (심플)

 

가상네트워크의 종류

- Host-Only : 외부와 단절된 내부 네트워크 구축하는 것으로 구성된 가상머신들끼리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호스트PC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자체 DHCP서버를 띄워 내부 네트워크 대역 할당 및 통신을 합니다. 호스트PC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 Bridge : 공유기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호스트PC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갖게 됩니다. 공유기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가상 네트워크 구성 응용 예시

Host-only로 구성된 내부 네트워크 내의 가상머신4에 NAT연결선을 추가한 후 가상머신4를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면, 

가상머신1,2,3에서도 외부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