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DNS 서버가 사설 DDNS 서버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DNS 서버는 공인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공인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DNS 서버는 사설 D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사설 D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DNS 서버는 해당 IP 주소를 클라이언트에 응답합니다.
-------------------------------------- 동일 -------------------------------------------------------------------------------------------- - 클라이언트는 IP 주소로 도메인 이름에 연결합니다.
따라서, VPN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클라이언트는 DNS 서버에 도메인을 질의합니다.
- 클라이언트는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DNS 서버는 공인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공인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DNS 서버는 사설 D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사설 D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DNS 서버는 해당 IP 주소를 클라이언트에 응답합니다.
-------------------------------------- 동일 -------------------------------------------------------------------------------------------- - 클라이언트는 VPN 서버에 연결합니다.
- VPN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트래픽을 암호화합니다.
- VPN 서버는 암호화된 트래픽을 인터넷에 전송합니다.
- 인터넷은 암호화된 트래픽을 VPN 서버에 전송합니다.
- VPN 서버는 암호를 해독하고 클라이언트의 트래픽을 원래 목적지로 전송합니다.
'네트워크 정리 > 용어,개념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서브넷Mask, WAN/LAN/ISP, a/b/c/d클래스 의미, (0) | 2022.05.31 |
---|---|
공유기, DHCP, 라우터/스위치/허브, AP, 브릿지/NAT (0) | 2022.05.31 |
edge server 아키텍처 예시 (0) | 2022.05.03 |
엣지서버_개념 (0) | 2022.04.18 |
xml , jason , yaml 차이 (0) | 2022.04.13 |
댓글